
송치형 회장이 이끄는 두나무의 친환경 행보가 눈에 띈다. 최근 데이터앤리서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가 지난 2023년 국내 빅5 가상자산거래소 중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에 따르면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가상자산거래소업계에 대해 ESG경영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업비트 △코빗 △빗썸 △코인원 △고팍스 등이다.
업비트는 지난해 1년간 총 2233건의 ESG 경영 관련 정보량을 기록하며 가상자산거래소 업계 ESG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6월 네이버, 다음 블로그 등에 공유된 내용에 따르면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는 강원도 춘천시 소재 국립춘천숲체원에서 40여명의 임직원과 함께 나무 심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어 11월 두나무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울진군, 울진군산림조합과 함께 경북 울진군 북면 산불 피해지역 일대에서 '회복의 숲' 식수 행사를 진행했다.
이 행사는 송치형 회장과 두나무가 지난해 3월부터 진행해온 '세컨포레스트와 함께하는 회복의숲 캠페인'의 일환으로,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시민 참여의 의미를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두나무는 지난해 12월 세계 토양의 날을 맞아 환경재단,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함께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젝트 '시드볼트 NFT 컬렉션'을 진행했다. ‘시드볼트 NFT 컬렉션’은 두나무 ESG 키워드 중 하나인 ‘나무’의 일환으로, 2026년까지 3년에 걸쳐 진행되는 장기 프로젝트다.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와 식물 모두 대체 불가하다는 점에서 각각의 ‘고유성’을 강조, 생물의 희소가치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생명의 근원인 토양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12월 5일 ‘세계 토양의 날’에 맞춰 출시를 알려 환경 보전에 대한 의미를 더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수정에서 운영하는 종자 보전 시설인 시드볼트(Seed Vault, 종자 금고)에 보관된 주요 식물 종자 이미지를 NFT로 제작, 업비트NFT에서 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여자들에게 모든 야생 식물이 멸종된 세계의 요원이 된다는 역할을 부여, 프로젝트 참여의 재미와 몰입도를 높였다.
두나무 송치형 회장은 “세상에 이로운 기술과 힘이 되는 금융으로 미래 세대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두나무만의 다양한 ESG 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답했다.